공직윤리지원관실 기업 조사 지시 업무방해죄?

공직기관이 특정 민간기업을 ‘내부 조사한다’는 명목으로 수색하고 인사에 개입했다면, 과연 업무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을까요? 이번 대법원 2013. 9. 12. 선고 2013도6570 판결에서는 공무원이 자신의 직위를 활용해 기업의 대표 사직을 유도하고 업무를 방해한 사건이 다루어졌습니다. 이런 사안은 단순히 ‘감사’ 수준을 넘는 개입이었고, 법원은 이를 업무방해죄로 판단했습니다. 비슷한 상황으로 불안해하고 있다면, 이 판례가 어떻게 판단을 내렸는지 하나하나 … 더 읽기

식당 양은그릇 소란 업무방해죄?

식당 운영 중 발생한 갈등이 형사처벌로 이어지는 경우, 감정적 충돌이 법적 책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식당 안에서의 소란이 과연 ‘업무방해’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피고인이 식당에서 양은그릇을 부딪치며 소란을 피운 사건에서 실제로 업무방해죄가 인정되었는지를 분석해드리겠습니다. 식당 운영권 다툼 중 소란행위 사례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 더 읽기

노동청 로비 무단점거 집회 업무방해죄?

관공서 로비에서 이뤄진 연좌농성이 과연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단지 항의의 표현으로 점거를 했을 뿐이라 주장하지만, 수십 명이 모여 공공업무에 혼란을 줬다면 사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부산노동청 집회 사례에서 본 사건 상황 2009년 10월 13일, 예선노조 소속 조합원들이 고용노동부 산하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로비를 점거하며 … 더 읽기

정당 경선에서 대리투표 업무방해죄?

정당 경선에 참여했다가 형사처벌까지 받을 줄은 상상도 못했을 겁니다. 내가 누구를 지지하든, 어떻게 지지하든 그것이 곧 범죄가 된다고요?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부분입니다. 특히 정치적인 자유와 형사처벌 사이의 경계선은 참 애매하죠. 하지만 최근 판례를 보면 그 경계가 점점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중앙지방법원 2013. 4. 26. 선고 2013노117 판결을 중심으로, 당내 경선에서 대리투표를 한 것이 업무방해죄로 … 더 읽기

네이버 자동완성어 순위조작 악성코드 유포 업무방해죄?

요즘 누군가의 검색결과가 조작됐다는 이야기, 들어보신 적 있나요? 네이버에 ‘꽃배달’이라고 검색하면 자동완성어에 특정 업체가 뜨고, 검색결과 상단도 특정 업체가 도배돼 있다면요? 단순 광고가 아니라면 이건 명백한 조작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그 조작이 일반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 악성코드를 통해 이뤄졌다면? 법적으로는 ‘업무방해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10도14607 판결을 중심으로, 악성프로그램 … 더 읽기

불매운동 항의전화 업무방해죄?

단순히 광고 중단을 요청했을 뿐인데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면 누구나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인터넷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조직적인 불매운동이 실제로 법적 처벌로 이어진 사례가 있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겠죠.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13. 3. 14. 선고 2010도410 판결을 통해, 특정 신문사에 광고를 게재한 광고주에게 항의전화를 한 행위가 어떤 경우에 업무방해죄로 인정되고, 또 어떤 경우에는 무죄가 되는지를 … 더 읽기

조합 이사장이 산하기관 광고 막으면 업무방해죄?

광역시 개인택시조합의 이사장이 자신에게 비판적인 신문사 광고를 끊어달라는 공문을 산하 새마을금고에 보냈다면, 과연 ‘업무방해죄’가 성립할까요?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져 법정까지 간 사건이 있습니다. 비슷한 문제로 억울함을 느끼고 계신 분들께, 법원이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했는지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조합 이사장의 광고중단 요청 사례 조합 이사장이 조합 소속 새마을금고에 한 신문 광고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가 문제가 된 사건입니다. 광고 … 더 읽기

철도공사 특별교육 저지한 노동조합 간부 업무방해죄?

파업을 앞두고 노조 간부들이 사측의 특별교육을 막으려다 업무방해 혐의로 재판을 받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노동조합의 정당한 활동인지 아니면 범죄로 볼 수 있는지,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비슷한 문제로 고민 중이시라면, 이 글을 통해 그 경계를 명확히 짚어드리겠습니다. 대법원 2013. 1. 31. 선고 2012도3475 판결을 중심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철도공사 특별교육 저지 사건 사례 2010년 5월 11일 오후, 한국철도공사 산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