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상인협의회 임관리비 징수 업무방해죄?

동대문 종합상가에서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협의회를 구성하고 임관리비를 징수해 은행에 예치했다는 이유만으로 업무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요? 상가 운영 방식에 불만을 품은 상인들이 단체로 목소리를 낸 것이 오히려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고 하니 많이 혼란스러우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대법원 판례인 1983. 10. 11. 선고 82도2584 판결을 바탕으로,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협의회에서 행한 행위들이 과연 형법상 업무방해죄에 해당하는지에 … 더 읽기

계주 승인 받고 대신했는데 업무방해죄?

남에게 돈을 빌려주고 채권을 받으려다 오히려 업무방해죄로 고소를 당했다면 얼마나 억울하고 당황스러울까요? 특히 계모임이나 계주 업무와 관련된 갈등은 법적으로도 까다로운 쟁점이 많아 정확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계주 업무를 대행한 행위가 과연 업무방해죄에 해당하는지를 실제 판례(대법원 1983. 2. 8. 선고 82도2486 판결)를 바탕으로 분석해드리겠습니다. 계주 변경을 둘러싼 업무방해죄 사례 이 사건의 핵심은 ‘계원들에게 받은 계불입금을 피고인이 … 더 읽기

해임된 병원장의 사무실 점거하면 업무방해죄?

병원장직에서 정식 해임됐는데도 퇴직자가 사무실을 떠나지 않고 병원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부적으로 해결이 어려워지면 결국 법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구고등법원 1982. 2. 12. 선고 80나1006 판결을 중심으로, ‘병원장 사무실 점거 업무방해’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병원장 사무실 점거 사례로 본 갈등 신청인 측은 병원 운영을 맡고 있는 … 더 읽기

건해태 소비지 직출하 방해받은 도매시장 업무방해죄?

건해태를 직접 소비지로 출하하려던 도매시장 운영자가 수산업협동조합의 조직적인 방해에 부딪혔다면 어떨까요? 누가 봐도 정당한 사업 행위가 누군가의 간섭으로 멈추게 된다면 큰 손해가 따를 수밖에 없겠지요. 오늘은 실제 판례를 통해 이러한 업무방해 상황에서 법적으로 어떤 대응이 가능한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건해태 소비지 직출하 업무방해 사례 건해태 유통과 관련된 갈등은 예상보다 복잡합니다. 특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의 핵심 단계에서 … 더 읽기

무효 임대차라도 경작 방해하면 업무방해죄?

농지 임차인이 밭을 경작하고 있었는데, 땅 주인이 나타나 그 밭을 갈아엎고 못하게 막습니다. 땅 주인은 말합니다. “이 계약은 원래 무효야. 농지개혁법에 따라 인정도 안 되는 계약이잖아!” 그런데… 법원은 이 사건에서 경작을 방해한 소유자에게 ‘업무방해죄’를 인정했습니다.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1980.11.25. 선고 79도1956 판결을 바탕으로 농지 임차인의 업무가 법적으로 보호될 … 더 읽기

종교로 수혈 거부했을 때 업무방해죄?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보호자가 진료를 막으면 정말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단순한 항의인지, 처벌 대상인 실력행사인지 그 기준은 모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의료법 위반과 업무방해죄가 성립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의료법 위반과 업무방해죄로 기소된 사례 의료기관 병실에서 벌어진 실력행사로 인해 형사책임이 문제된 사건이 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항의인지, 업무를 방해할 의도와 실력이 있었는지가 주요 … 더 읽기

주류제조면허 양도계약이 업무방해죄가 된 이유

주류제조면허를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한 후 양도인이 면허 취소 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단순한 채무 불이행일까요? 아니면 형사처벌까지 가능한 문제일까요? 오늘 소개해드릴 판례는 이와 관련된 핵심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류제조면허 양도계약 불이행 사례 A씨는 본인의 주류제조면허를 B씨에게 넘기기로 하고 양도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내용은 간단했습니다. A씨는 면허 취소를 신청하고, B씨는 같은 날 새 면허를 신청하는 방식으로 주류제조면허를 넘겨받기로 … 더 읽기

실효된 동업약정서로 가처분? 업무방해죄 판단은?

매립지 권리를 주장하며 가처분을 신청했지만, 이미 실효된 동업약정서를 제출했다면 업무방해죄가 성립될까요? 오늘은 실무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이 민감한 문제에 대해 1978년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드리겠습니다. 특히 동업관계의 종료 이후 문서를 이용한 법적 절차가 업무방해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봅니다. 실효된 동업계약서로 가처분 신청한 사건 1970년대 초 부산 지역에서 발생한 공유수면 매립사업 관련 갈등은 단순한 동업 해지 문제가 … 더 읽기

내용증명 보낸 후 밭갈이 업무방해죄?

토지 소유자가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해서 마음대로 밭을 갈아엎었다면, 그게 곧 ‘업무’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실제로 대법원은 이를 ‘정당한 업무수행’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단순히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 이번 글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점유자 경작 중 소유자가 일방적 경작한 사례 1970년대 서울 외곽의 한 밭에서 있었던 사건입니다. 수십 년간 동일한 사람이 점유하며 경작해 온 밭에 대해, … 더 읽기

수확 앞둔 보리를 갈아엎은 토지매수인 업무방해죄?

국유지 매수 후 경작을 시작한 사람, 그런데 누군가 그 앞을 막고 쟁기를 붙잡습니다. 이 상황, 단순한 농사 다툼일까요? 대법원은 이 사건에서 놀라운 판단을 내립니다. 수확을 앞둔 보리가 있는 상태에서 매수인이 이를 갈아엎었다면, 이는 부당한 침해이며 이를 막기 위한 행위는 정당방위로 본다고 판시한 것이죠. 오늘은 바로 그 사건, 1977년 대법원 판례(76도3460)를 중심으로 업무방해죄와 정당방위의 경계를 짚어드리겠습니다. … 더 읽기